Node.js는 오픈소스 크로스 플랫폼 JavaScript 런타임 환경이다. 크롬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 빌드된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인데, 간단히 말해 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던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이외의 환경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실행 환경이다. Node.js는 네트워크에서 읽기, 데이터베이스 또는 파일 시스템 접근과 같은 I/O 작업을 수행할 때 스레드를 차단하고 CPU 사이클을 낭비하는 대신, 응답이 돌아오면 작업을 재개한다. 이를 통해 Node.js는 스레드 동시성을 관리하는 부담을 주지 않고도 단일 서버와 수천 개의 동시 연결을 처리할 수 있다.
1. 개발환경 세팅
Step 1. node.js 설치
: https://nodejs.org/en/download/package-manager 공식 홈페이지에서 node.js를 설치한다.
: 터미널에서 node -v 명령어를 통해 설치된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ex. v22.5.1)
node -v
Step 2. VScode 설치
: Microsoft에서 개발한 에디터인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사용할 예정이다. 개발자의 OS에 맞는 버전을 설치한다.
Step 3. 작업 폴더 생성 & 에디터에서 열기
code .
Step 4. npm(노드 패키지 관리자) 초기 세팅
: 터미널 > 새 터미널 > 'npm init' 명령어 작성
npm init
이대로 진행하면 하단 사진 처럼 프로젝트에 대한 초기 정보를 설정을 할 수 있다. 나중에도 수정할 수 있으니 엔터키로 전부 넘어가 준다.
패키지를 관리할 'package.json' 파일이 생성되면 성공이다.
Step 5. mongoDB & mongoDB Compass 설치
: 우리 프로젝트의 데이터베이스는 비정형 데이터에 유리하고 구조가 유연해 데이터 스키마가 자주 변경될 수 있는 프로젝트에 적합한 'mongoDB'를 사용할 예정이다. 몽고디비에 관련된 내용은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에서 따로 다루겠다.
: https://www.mongodb.com/ko-kr 공식 사이트에서 OS에 맞게 설치한다.
: https://www.mongodb.com/ko-kr/docs/compass/current/ mongoDB의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툴(GUI)인 mongoDB Compass도 함께 설치한다.
Step 6. Express 설치
: 서버 구성을 쉽게 도와줄 nodejs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인 express 또한 함께 설치해준다.
npm install --save express
Step 7. 프로젝트 내 필요 패키지들 설치
npm i express mongoose dotenv cors body-parser
- mongoose : 몽고DB와 Express.js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간 연결을 생성하는 자바스크립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
- dotenv : Node.js 애플리케이션에서 환경 변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
- cors : 자신이 속하지 않은 다른 도메인, 다른 프로토콜, 혹은 다른 포트에 있는 리소스를 요청하는 cross-origin HTTP 요청 방식(cors)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모듈
- body-parser : 클라이언트 POST 요청 데이터의 body로부터 파라미터를 편리하게 추출하기 위한 모듈
'BE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ode.js ] MIME TYPES (0) | 2025.04.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