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문법부터 정리하고자 한다.
수업으로 자바를 수강한 적이 있는데 오래되기도 했고 자주 사용한 언어가 아니어서 초반부터 정리한다.
IDE : IntelliJ ( 이전엔 eclipse를 사용했는데 보다 더 빠른 인텔리제이를 사용한다.)
버전 : java version "21.0.5"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에서 요구하는 JDK21로 맞추어 사용한다.)
01. 콘솔 출력
- println( ) : 괄호안 내용 출력+줄바꿈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print( ) : 괄호안 내용 출력
- printf( ) : 자료형 포맷에 따라 출력
- 10진수 출력 : System.out.printf("%d",30); //30
- 8진수 출력 : System.out.printf("%o",30); //36
- 16진수 출력 : System.out.printf("%x",30); //1e
- 문자열 출력 : System.out.printf("%s","출력"); // 자바에서 문자열은 큰따옴표 안에 작성
- 부동소수점 출력 : System.out.printf("%f", 5.8);
- 소수점 아래 n자리 수 출력 : System.out.printf("%4.2f", 5.8); //서식지정자 %(n.m)f면 소수점 이하 m자리 수만큼 출력하고 소수점을 포함해 n개의 문자가 되도록 앞에 공백을 넣어 출력함
02 . 자료형
- 변수이름 선정 규칙
- 특수문자( _ 와 $), 영어 대소문자, 한글 사용 가능
- 숫자 사용 가능 but 변수의 첫 번째는 올 수 없음
- 자바에서 사용중인 키워드 사용 불가
- 변수 이름은 소문자로 시작하길 권고
- 낙타 표기법(camel case) :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변수 이름의 경우, 첫 번째 단어는 소문자로 시작하고 그 이후의 각 단어는 대문자로 시작하는 낙타 표기법(camel case)를 사용한다. (예: orderDetail ,myAccount)
- 변수의 생존 기간
: 선언된 중괄호 안에서만 사용 가능
- 자료형의 종류
1. 기본 자료형(Primitive type) : boolean,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char(문자는 작은 따옴표 사용)
+ 자료형 없이 값으로 입력하는 경우 정수값은 'int'로, 실수값은 'double'로 저장됨(float아님 주의) & 등호를 중심으로 좌우의 타입이 동일해야 함 (예외 : int보다 작은 byte/short에 대입되는 int값은 각각 byte와 short로 인식됨)
-> float c = 3.2 (x) : 좌항이 float 자료형이고 우항이 double 자료형이기 때문
- 변수 타입 정리
** 실무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타입
- `byte` : 표현 길이가 너무 작다. 또 자바는 기본으로 4byte( `int` )를 효율적으로 계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int`를 사용하자. `byte` 타입을 직접 선언하고 여기에 숫자 값을 대입해서 계산하는 일은 거의 없다. 대신에 파일을 바이트 단위로 다루기 때문에 파일 전송, 파일 복사 등에 주로 사용된다.
- `short` : 표현 길이가 너무 작다. 또 자바는 기본으로 4byte( `int` )를 효율적으로 계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int` 를 사용하
- `float` : 표현 길이와 정밀도가 낮다. 실수형은 `double` 을 사용하자.
- `char` : 문자 하나를 표현하는 일은 거의 없다. 문자 하나를 표현할 때도 문자열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ring a = "b"` 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타입
- 정수- `int` , `long` : 자바는 정수에 기본으로 `int` 를사용한다. 만약 20억이 넘을것 같으면 `long` 을 쓰면 된다.
- 파일을 다룰 때는 `byte` 를 사용한다.
- 실수 - `double` : 실수는 고민하지 말고 `double` 을 쓰면 된다.
- 불린형 - `boolean` : `true` , `false` 참 거짓을 표현한다. 이후 조건문에서 자주 사용된다.
- 문자열 - `String` : 문자를 다룰 때는 문자 하나든 문자열이든 모두 `String` 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2. 참조 자료형(Reference type) : 클래스, 배열, 열거, 인터페이스- 직접 정의할 수 있어 무한개가 존재함. 참조 자료형은 대문자로 시작하길 권고함 (ex. String, System)
int[] students와 같이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참조(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을 참조형(Reference Type)이라 함. 뒤에서 학습하는 객체나 클래스를 담을 수 있는 변수들도 모두 참조 형임.
'PS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 기본 문법 - 배열 (0) | 2024.10.19 |
---|---|
[ JAVA ] 기본 문법 - Scanner (0) | 2024.10.19 |
[ JAVA ] 기본 문법 - 스코프(변수의 접근 가능한 범위), 형변환 (0) | 2024.10.19 |
[ JAVA ] 기본 문법 - 조건문 (0) | 2024.10.19 |
[ JAVA ] 기본 문법 - 연산자 (0)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