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 js로 구현된 백엔드 서버 코드를 깃허브에 올려주셔서 다운받아 사용했다.
DB 연결도 supabase라는 서비스를 사용해 간편하게 진행했다. (이거 신기하더라 ,, ㅎ)
supabase 설정 이후 받은 database url을 .env 파일에
DATABASE_URL = [DB 비밀번호]postgresql://어쩌구의 db 주소
설정을 해주고
npm run build
npm run start
명령어를 통해 서버를 켠다.
그리고 localhost 포트 12345번으로 접속하고 엔드포인트를 /api로 설정하면 swagger로 넘어가 자세한 api호출을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서버 종료는 ctrl+c로 진행하면 되고,
데이터를 좀 더 간편하게 보기 위해서
vs 터미널 창의 휴지통 왼쪽의 split 아이콘을 눌러 새로운 터미널을 만들고
npx prisma studio
명령어를 입력하면, 백엔드 서버가 사용하고 있는 DB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별도의 페이지로 연결된다.
근데 수파베이스 Free 요금제는 일주일이 지나도록 어떠한 api 요청도 보내지 않으면 서버가 중지된다 ,, ㅎ
복구는 restore project 누르면 10분~1시간 사이로 복구된다고 한다.
걍 ,, 일주일 내로 이 강의를 뿌셔보겟다 ㅎㅎ!!
끗.
'FE > Nex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xt.js ] 페이지 라우터 Page Router (0) | 2025.01.26 |
---|---|
[ Next.js ] 사전 렌더링 이해하기 (1)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