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Unity 개발환경을 세팅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Step 1. 유니티 허브 설치 파일 다운로드
: https://unity.com/kr/download 해당 링크로 접속해 사용자의 OS에 맞는 유니티 HUB를 다운받는다.
Step 2. 유니티 허브 설치 및 실행
Step 3. 유니티 계정 생성 및 로그인
Step 4. 유니티 아카이브에서 LTS(Long Term Support, 장기 지원 버전)버전 중 최신 버전 다운로드
Step 5. 설치 과정 중 Visual Studio Community 2022를 함께 설치
: Mac OS의 경우, Visual Studio for Mac이 2024년 08월 31일을 기점으로 사용이 중지된다. 따라서 vs 연동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visual studio code등의 편집기를 이용해 연동하도록 하자.
Step 6. VS Community 설치 과정 중 워크로드에서 유니티 개발 환경을 설치
: 설치에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
Step 7. 유니티 설치 완료 후 2D 프로젝트 생성
: 우리는 가벼운 프로젝트부터 생성해보고자, 2D로 진행했다.
Step 8. 좌측 계층 목록 창에서 우클릭 메뉴 – UI – Legacy – Text / Button 를 클릭하여 오브젝트 생성
: UI에 들어가면 Text-TextMeshPro(이하 TMP) 도 있고 Legacy-Text도 있다. 텍스트와 버튼의 종류가 두 가지인데 왜 legacy를 사용하는지 궁금했는데, 렌더링 품질과 성능, 기능면에서 TMP가 우수하나 이전 텍스트 모델인 Legacy-Text도 최적화면에서 가볍게 사용하기 좋아 큰 기능이 없는 가벼운 텍스트의 경우, 현재도 많이 사용중이라고 한다. 연습용 프로젝트에서 큰 기능이 필요하지 않아 legacy ui를 사용했다.
Step 9. 하단 프로젝트 창에서 우클릭 메뉴 – Create – 폴더 생성 및 C# 스크립트 생성
: 생성된 스크립트를 더블 클릭하면, 연결된 편집기(vs)가 열리고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Step 10. 스크립트에서 UnityEngine.UI 네임스페이스를 가져오도록 using 구문을 추가
: ex.) using UnityEngine.UI;
Step 11. Debug.Log, .text 등 필요한 기능을 넣어 OnClickBtn(예시)이라는 함수를 완성
Step 12. 스크립트 저장 및 연결
Step 13. 씬 저장 및 프로젝트 실행
'FE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nity2D ] 방치형 게임 - 캐릭터 애니메이션 (0) | 2025.04.25 |
---|---|
[ Unity2D ] 방치형 게임 - DontDestroy (0) | 2025.04.25 |
[ Unity2D ] 방치형 게임 - 씬(Scene) 전환 구현 (0) | 2025.04.25 |
[ Unity2D ] 방치형 게임 - Background 설정 (0) | 2025.04.24 |
[ Unity2D ] Unity란 ? (0) | 2024.09.02 |